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설명

MGCP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
ßàMGC

인터넷 전화에서 전화망과 IP망을 접속하는 VoIP 게이트웨이 기능을 IP 네트워크 상에서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 공통선 신호망과 IP망을 접속하는 No.7 신호 방식 게이트웨이와 같은 전화국 호 담당자(call agent) VoIP 게이트웨이와 같은 미디어 게이트웨이 사이에 주고받는 것을 규정한다. 공통선 신호망으로부터 호 설정 신호 등을 수신한 전화국 호 담당자가 MGCP에 의해서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교환 기능 등을 제어한다.

MGCP H.248 또는 Megaco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멀티미디어 회의 진행 중에 필요한 신호 운용 및 세션 관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회선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을 패킷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켜 주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을 정의한다. MGCP는 다중 종단 간의 호를 설정, 관리하거나 종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Megaco H.248 MGCP를 강화한 버전을 가리킨다.

이 표준은 IETF에 의해서는 Megaco (RFC 3015)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ITU-T의 통신 표준화 부문에 의해서는 H.248이라는 이름으로 추천되었다. 이전의 ITU-T 프로토콜이었던 H.323은 근거리통신망용으로 사용되었으나 대규모 공중 네트웍용으로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MCGP Megaco/H.248 모델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신호 제어를 제거하고, 그 기능을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에 집어넣어 여러 대의 게이트웨이를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MGCP IPDC (Internet protocol device control) SGCP (simple gateway control protocol) 등 두 개의 다른 프로토콜로부터 만들어졌다. RFC 2705에 정의되어 있는 MGCP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가 마스터 역할을 하는 마스터-슬레이브 모델의 응용 계층에서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MGCP는 제어기가 각 통신 종점의 위치와 미디어 역량을 결정함으로써 모든 참가자들을 위한 서비스 레벨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MGCP의 후속 버전인 Megaco/H.248은 다중 게이트웨이는 물론, 게이트웨이 당 더 많은 포트 수와 TDM ATM 통신을 지원한다.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접속 설정 프로토콜    IETF 주로 소프트스위치간 사용

SIP는 매우 간단한 텍스트 기반의 응용계층 제어 프로토콜로서, 하나 이상의 참가자들이 함께 세션을 만들고, 수정하고 종료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세션들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회의, 전화, 면회,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 등이 포함된다. SIP는 하위에 있는 패킷 프로토콜 (TCP, UDP, ATM, X.25)에 독립적이다.

SIP는 텍스트 기반의 SMTP HTTP 이후에 설계되었다. SIP는 클라이언트들이 호출을 시작하면 서버가 그 호출에 응답을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다. SIP는 이러한 기존의 텍스트 기반 인터넷 표준들에 따름으로써, 고장 수리와 네트웍 디버깅 등이 쉽다.

SIP의 주요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인터넷 멀티미디어 회의, 인터넷 전화, 멀티미디어 배포 등을 지원

•멀티캐스트, 또는 망사형 유니캐스트 관계들을 통한 통신교섭을 허용

•프록시와 리다이렉트 등을 통해 "사용자 이동성"을 지원

•하위계층 프로토콜에 독립적

•특정 응용프로그램으로 확장이 가능

SIP IETF MMUSIC (Multiparty Multimedia Session Control) 작업그룹에서 개발되었다. SIP RFC 2543에 설명되어 있다.

Bearer Independent
Call Control
BICC [
통신망]

광대역 백본망에서 네트워크와 단말 서비스에 종합 정보 통신망(ISDN)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프로토콜. 음성이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중 전화망이나 지능망에서 통화 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패킷 기반의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하므로 차세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 스위치간 연동에도 사용된다. BICC는 기존의 공중회선 교환망을 이루고 있는 SS7 신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확장했기 때문에 기존의 전화망을 차세대 백본의 새로운 서비스에 적용하기 쉽다. 또 고속의 차세대 패킷 기반망과의 연동을 손쉽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망으로부터 차세대 망으로의 진화를 가능하게 해주고 기존 프로토콜을 확장해 망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TU-T Q.1901에서 비동기 전송 방식(ATM) 백본에 적용하기 위한 CS1(Capability Set 1)을 규정하고 있으며 ITU-T Q.1902 시리즈에서 CS2를 규정하고 있다.

SIGTRAN Signaling
Transport
[
통신망
]
SG
ßà MGC

종합 정보 통신망(ISDN), SS7, IPv6와 같은 신호 전송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망 프로토콜. IP 망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인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를 이용하여 MTP(Message Transfer Part) 레벨3 사용자의 No.7 메시지를 전달하는 M3UA(MTP3 User Adaptation), SUA(SCTP User Adaptation)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프트스위치, MGC(Media Gateway Controller), SG(Signaling Gateway), 미디어 게이트웨이 등에서 VoIP 응용 프로그램용으로 사용된다.

gatekeeper

gatekeeper H.323를 이용한 화상회의에서 사용자의 이름을 물리적인 주소로 바꾸어주는 서버이다. 이것은 호출 허가나 계정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PBX
(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교환기

PBX는 회사에서 사용되는 일정수의 외부전화회선을 모든 직원이 공유하고,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사용자들간에 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해주기 위한 전화교환 시스템이다. PBX를 사용하는 주목적은 회사의 모든 종업원들에게 일일이 일반 전화회선을 배정할 경우 들어가게 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PBX는 전화회사가 아닌 일반 기업체의 소유로서 자체 책임 하에 운영된다. PBX에는 원래 아날로그 기술이 사용되었으나 요즘은 모두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다. PBX는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PBX에 종단 처리되는 전화 트렁크 회선들

PBX 내외부의 호를 교환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컴퓨터(자체 메모리 필요)

PBX 내의 회선 네트웍

•교환원을 위한 콘솔이나 스위치보드

적은 회사의 경우에는 PBX 대신에 PRI급의 ISDN을 이용한 키폰이 대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PBX 제작업체로서 잘 알려진 회사들로는 삼성전자, LG정보통신 등이 있으며, 외국업체로는 Lucent Technologies, Northern Telecom (NORTEL), Rolm/Siemens, NEC, GTE, Intecom, Fujitsu, Hitachi, Mitel 등이 있다.

trunk ; 트렁크

전화시스템에서 트렁크는 두 개의 전화교환시스템 간에 설치되어있는 대용량 전화 채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역폭이 넓어서 음성과 데이터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설사 회선이나, 트렁크, 회로 등이 때로는 비슷한말로 사용된다 할지라도, 실제로 사용자 터미널이나 PC로부터 네트웍에 이르는 회로는 트렁크라고 부르는 대신에, 좀더 적절한 표현으로서 '회선'이라고 부른다. 또한, 디지털 통신에서의 트렁크란 보통 T-1 회선 등 고속회선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P는 오디오와 비디오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RTP 그 자체가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송수신 응용프로그램들이 스트리밍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RTP는 일반적으로, UDP 프로토콜 상에서 실행된다.

RTP는 산업계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 넷스케이프는 자사의 LiveMedia 기술에 대한 기반을 RTP에 두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자사의 제품인 NetMeeting RTP를 지원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SoftSwitch

각 네트워크의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시그널링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며 각 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체 네트워크 관리를 수행

S/W기반의 새로운 스위칭 기술로 호 로직과 액세스를 분리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업자로 하여금 기존의 방대한 음성 트래픽을 패킷 기반 음성 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PSTN에서 제공하던 음성서비스를 패킷망에서도 그대로 제공하기 위해, PSTN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패킷망에서 음성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H.323, SIP, BICC, MGCP, MEGACO/H.248 프로토콜 등을 동시에 수용한다.

망 음성 트래픽을 위한 호 제어와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며 서로 다른 망 간의 인터워킹을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표준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제어기능을 분리한 일종의 게이트웨이 제어 시스템으로, 표준화 기구나 생산업체에 따라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 호 서버, 호 에이전트 등으로 혼용되어 불린다.

H.323

ITU가 승인한 프로토콜로 기존 장비가 거의 모두 이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있다. 점차 지고 있는 프로토콜임은 확실하지만, 기존 영역을 지원하는 부분이 커 무시할 수 없다.
원래 ISDN 기반 프로토콜이었던 H.323은 음성/비디오/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LAN과 인터넷과 같은 QoS를 보증하지는 않는다. 주로 LAN을 통한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터미널, 장비, 서비스 등을 규정하며, 압축, 콜 컨트롤, IP 패킷의 암호화 등도 포함된다
.
H.323
표준에 근거한 VoIP 서비스는 음성 통화의 에코 제거, 연결중의 QoS 보장을 위한 음성의 활동/휴지중의 잡음탐지 등의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음성 트래픽이 대역폭이 낮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전달될 때 가장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단점은 전통적인 전화의 특징을 보완하기 위해 복잡하고 독점적인 구조를 가진다는 점이다.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ITU-T H.323에 대응되는 프로토콜로, IETF MMUSIC (Multiparty Multimedia Session Control) 워킹그룹에서 개발해 1999 3월 표준화됐다. 멀티미디어 세션 또는 콜을 제어하는 프로토콜로 기존 H.323보다 작고 가벼워 간결한 호 설정을 제공한다.
단말 간 또는 사용자 간의 VoIP 서비스 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의 호 설정을 해주는 피어(peer) 레벨 콜 컨트롤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모든 인터넷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든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요소로 포함돼 호 설정, 호 관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요청 등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
H.323
과 비교시 용량, 확장성, 개발 부분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어 차세대 통합 표준 프로토콜로 인정 받고 있다.




+ Recent posts